
얼마 전 금호아트홀에서 어떤 해금 주자가 리사이틀을 한다고 해서 가 보았다. 가기 전에 교보문고에 들려서 예체능계 신간이 뭐가 들어왔나 살펴 보았는데, 한국의 유명 음악인들을 다룬 일종의 평론 선집 같은 것을 볼 수 있었다.
작자는 음악계 사람이라면 이름이라도 들어 보았을 한 원로 평론가. 하지만 그 평론가는 내가 '이름이라도 들으면' 곧바로 썩어 문드러진 표정을 짓는 사람이었다.
괜히 집었구나 하는 생각을 계속 하면서도 나의 작곡가로서 정신적 지주인 김순남과 윤이상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고 그 쪽으로 페이지를 계속 넘겼다.
아니나 다를까.
김순남에 대해-월북 후 작곡한 작품들은 체제 순응적인 것들 뿐이므로 논의의 대상이 아니다.
윤이상에 대해-연구소까지 만들어진 북한에서는 그의 음악이 연주되고 있지 않는다고 하니, 역시 그의 고향은 대한민국인 것이다.
저 '평론가' 는 80년대에 '북한 음악의 실상과 허상' 이라는 책을 통해 북한 음악을 '맹목적인 체제 선전의 음악' 이라며 비판한 바 있었지만, 2000년 조선 국립 교향악단이 서울 공연을 가진 직후에는 '북한도 민족 음악을 지키고자 하는 면이 엿보여 좋았다' 면서 카멜레온 뺨치는 변신을 한 바 있다.
그리고 그의 저 '평론가답지 않은 습성' 역시 달라지지 않았다. 두 작곡가의 작품성은 인정한다면서도 거기에 북한을 끌어들여 물타기 하는 수준이라니. 나이 지긋한 원로이건, 혹은 새파란 어린아이건 간에 한국 음악계에서는 사고 회로가 제대로 된 인물을 찾기가 너무나 힘들다.
(네이버 블로그, 2003.12.10)
작자는 음악계 사람이라면 이름이라도 들어 보았을 한 원로 평론가. 하지만 그 평론가는 내가 '이름이라도 들으면' 곧바로 썩어 문드러진 표정을 짓는 사람이었다.
괜히 집었구나 하는 생각을 계속 하면서도 나의 작곡가로서 정신적 지주인 김순남과 윤이상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을 보고 그 쪽으로 페이지를 계속 넘겼다.
아니나 다를까.
김순남에 대해-월북 후 작곡한 작품들은 체제 순응적인 것들 뿐이므로 논의의 대상이 아니다.
윤이상에 대해-연구소까지 만들어진 북한에서는 그의 음악이 연주되고 있지 않는다고 하니, 역시 그의 고향은 대한민국인 것이다.
저 '평론가' 는 80년대에 '북한 음악의 실상과 허상' 이라는 책을 통해 북한 음악을 '맹목적인 체제 선전의 음악' 이라며 비판한 바 있었지만, 2000년 조선 국립 교향악단이 서울 공연을 가진 직후에는 '북한도 민족 음악을 지키고자 하는 면이 엿보여 좋았다' 면서 카멜레온 뺨치는 변신을 한 바 있다.
그리고 그의 저 '평론가답지 않은 습성' 역시 달라지지 않았다. 두 작곡가의 작품성은 인정한다면서도 거기에 북한을 끌어들여 물타기 하는 수준이라니. 나이 지긋한 원로이건, 혹은 새파란 어린아이건 간에 한국 음악계에서는 사고 회로가 제대로 된 인물을 찾기가 너무나 힘들다.
(네이버 블로그, 2003.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