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톤 브루크너(Anton Bruckner, 1824-1896)의 교향곡이 국내에서 활발하게 연주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물론 1970년대에 교향곡 8번을 과감히 국내초연했던 홍연택 같은 지휘자들도 있었고, 4번이나 7번 같은 인지도 높은 곡을 공연하는 지휘자나 관현악단도 종종 찾아볼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누구도 브루크너의 교향곡 11곡 전곡을 모두 공연하지는 못했는데, 거기에 과감히 출사표를 던진 이들이 이동호 지휘의 제주특별자치도립 제주교향악단-구 제주 시립 교향악단. 이하 제주도향으로 표기-이었다. 이들은 2004년 11월 18일에 교향곡 4번을 시작으로 2008년 4월 1일 초기작인 교향곡 00번을 마지막으로 연주하기까지 약 3년 5개월이라는 시간을 들여 전곡 연주회를 한국 최초로 치루었다.
한국 음악계에서도 그 동안 변방으로 치부되어온 제주도에서 서울이나 수도권 악단들도 감히 도전하지 못한 대인배 프로젝트를 완성한 것이었는데, 이런 소식이 알려지면서 국내에서 브루크너 교향곡을 공연 곡목에 올리는 악단들이 꽤 늘었다. 건강 악화로 인해 속행 여부가 걱정스럽긴 하지만 임헌정이 자신의 수족인 부천 필을 이끌고 두 번째 전곡 연주에 도전하고 있으며, 오스트리아 유학파인 박은성이나 금노상 같은 지휘자들도 전곡까지는 아니지만 이곡저곡을 무대에 올리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관현악단들이 자체적으로 CD나 DVD를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제주도향도 한국 최초로 성사시켰던 이 프로젝트를 위해 꼬박꼬박 녹음을 해두었다. 그것을 가지고 (일반적인 판매용은 아니지만) CD를 제작했는데, 쭉 풀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1. 연주에 사용한 악보
2. 녹음 일자와 장소
3. 음반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공연 당일 같이 연주된 곡
*CD 순서는 곡의 작곡 연대에 따름.
교향곡 제 00번 (JPO-084, CD)
1. 1863년판 (레오폴트 노바크 편집)
2. 2008년 4월 1일 제주 문예회관 대극장
3. 요하네스 브람스: 비극적 서곡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오보에 다모레 협주곡 BWV 1055 (함일규 협연)
교향곡 제 1번 (JPO-076, CD)
1. 1877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7년 2월 13일 제주 문예회관 대극장
3. 표트르 일리치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제 1번 (주희성 협연)
교향곡 제 0번 (JPO-083, CD)
1. 1869년판 (레오폴트 노바크 편집)
2. 2008년 2월 14일 제주 문예회관 대극장
3. 로베르트 슈만: 피아노 협주곡 (한가야 협연)
교향곡 제 2번 (JPO-077, CD)
1. 1877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7년 6월 29일 제주 문예회관 대극장
3. 펠릭스 멘델스존: 서곡 '뤼 블라'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제 20번 (조윤수 협연)
교향곡 제 3번 (JPO-075, CD)
1. 1878년판 (프리츠 외저 편집)
2. 2006년 6월 8일 제주 문예회관 대극장
3. 장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오주영 협연)
교향곡 제 4번 '낭만적' (JPO-085, CD)
1. 1881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9년 4월 9일 제주 문예회관 대극장
3. 황성호: 관현악 노리 '파랑도' & 칼 라이네케: 하프 협주곡 (곽정 협연)
교향곡 제 4번 '낭만적' (JPO-006, DVD)
1. 1881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9년 4월 18일 서울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3. 황성호: 관현악 노리 '파랑도' & 칼 라이네케: 하프 협주곡 (곽정 협연)
교향곡 제 5번 (JPO-004, DVD)
1. 1878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5년 6월 25일 서울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3.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한기정 협연)
*같은 녹음을 담은 CD도 있으나, 품번 불명임.
교향곡 제 6번 (JPO-081, CD)
1. 1881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7년 10월 11일 제주 한라아트홀 대극장
3.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송세진 협연)
교향곡 제 7번 (JPO-080, CD)
1. 1885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7년 4월 13일 제주 문예회관 대극장
3. 유병은: 관현악 '한' & 알프레트 시닛케: 비올라 협주곡 (강주이 협연)
교향곡 제 7번 (JPO-003, DVD)
1. 1885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7년 4월 21일 서울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3. 유병은: 관현악 '한' & 알프레트 시닛케: 비올라 협주곡 (강주이 협연)
교향곡 제 8번 (JPO-078, CD)
1. 1890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6년 10월 24일 제주 문예회관 대극장
3. 프란츠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제 2번 (제이슨 곽 협연)
교향곡 제 8번 (JPO-072, CD)
1. 1890년판 (로베르트 하스 편집)
2. 2006년 10월 28일 서울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3. 프란츠 리스트: 피아노 협주곡 제 2번 (아킬레스 데예 비녜 협연)
교향곡 제 9번 (JPO-074, CD)
1. 1894년판 (알프레드 오렐 편집)
2. 2006년 1월 26일 제주 문예회관 대극장
3. 조지 거슈인: 피아노 협주곡 (유미정 협연)
4번을 제외하면 모두 전곡 연주회의 실황을 담고 있는데, 4번의 경우 녹음을 하지 못했거나 녹음이나 연주 상태가 그다지 좋지 않았는지 올해(2009) 제주에서 했던 정기연주회와 서울에서 했던 교향악축제의 실황으로 각각 CD와 DVD를 만들었다. (5번과 7번도 서울에서 행한 공연은 DVD로 제작해놓고 있다.)
ⓟ 2009 Jeju Provincial Arts Company
11곡 전곡의 연주와 녹음을 모두 했다는 것은 기록상의 이유로도 매우 중요한데, 브루크너 교향곡의 연속 연주회를 개최하거나 음반 셋트를 만든 지휘자들은 꽤 많다. 하지만 대부분 1-9번 아홉 곡만을 다루거나(요훔, 카라얀, 바렌보임 텔덱 녹음 등), 0-9번 열 곡만을 다루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하이팅크, 샤이, 바렌보임 DG 녹음 등). 특히 가장 처음 작곡된 00번의 경우, 객관적으로 봐도 너무 아류스럽고 미숙한 점이 많아 웬만한 지휘자들은 거들떠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008년까지 11곡을 모두 녹음해 '진정한 전집' 을 만든 이들은 엘리아후 인발과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 스타니스와프 스크로바체프스키, 게오르크 틴트너까지 겨우 네 명 뿐이었다. 거기에 이동호가 다섯 번째 지휘자로 추가된 것이고.
물론 연주나 녹음의 완성도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릴 만한 물건이다. 그저 까고 씹는 것을 위해 존재하는 모 클래식 커뮤니티들의 뻘소리는 차치하더라도, 모든 녹음이 하루 실황을 편집없이 그대로 수록한 것이라 실수가 종종 들어있는 것도 사실이고. 좀 더 전문적인 판본 문제를 따져보면 최신 개정판인 노바크판보다 하스판을 많이 쓰고 있는 것도 뭔가 이러쿵 저러쿵할 구석이 있을 것이다.
이 셋트가 상업용으로 풀릴지 어떨지가 개인적으로는 궁금한데, 그 전까지는 악단 측에서 희망자에 한해 CD나 DVD를 신청하면 배송료만 받고 보내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일단 신청할 예정인데, 만약 정말 받을 수 있다면 개인적인 브루크너 교향곡 셋트 리스트에 세 번째로 포함되는 것이다. (현재 보유중인 것은 요훔 지휘의 DG 1-9번 셋트와 틴트너 지휘의 낙소스 전집)
이동호와 제주도향은 브루크너 교향곡 전곡 연주회를 마무리한 뒤 2008년 6월 19일부터 역시 한국 최초 프로젝트인 시벨리우스 교향곡 전곡 연주회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것 역시 녹음이 되어 나올 것 같다. 시벨리우스 교향곡은 번호 붙은 7곡 외에 약간 애매한 성격의 초기작인 '쿨레르보 교향곡' 까지 총 8곡이 존재하고 있는데, 만약 여덟 곡 모두를 완주한다면 이것도 한국 음악사에 남을 진기록이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