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나먼정글 잡설록

블로그 이미지
말 그대로 잡설록 (공지 필독!!!)
by 머나먼정글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협주곡 연주 때는 지휘자와 협연자 두 사람의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때로는 협연자가 지휘자 역할도 겸하는 1인 2역의 무대도 어렵잖게 볼 수 있다. 특히 피아니스트들이 이러한 1인 2역을 많이 하는데, 에트빈 피셔나 게자 안다,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나 미하일 플레트뇨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다니엘 바렌보임, 정명훈 등은 음반도 낸 바 있다.

이번에 다룰 물건도 마찬가지인데, 1인 2역인 건 똑같지만 그것을 번갈아가며 진행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 또 특이한 점을 가지고 있다.

흔히 19세기 독일 낭만주의 악파는 브람스 중심의 '온고지신 보수파' 와 바그너 중심의 '미래지향 개혁파' 로 크게 나뉜다고들 한다. 물론 그 파벌이라는 것이 썰어놓은 빵처럼 정확히 갈린 것도 아니고, 결국 '씹거나 까거나 하고 싶어서 안달난 이들의 대리 전쟁' 이었다고 평가절하하는 사람도 있다(개인적인 의견이 바로 후자다).

다만 전자로 싸잡아 나뉘는 계열의 작곡가들 중에는 브람스를 빼고 별로 알려진 이들이 많지 않다. 바그너 진영의 경우 브루크너나 말러 등이 음악사에서 꽤 중요하게 서술되는데 반해 좀 불공평한 처사라고도 할 수 있는데, 사실 사가들의 입장에서는 뭔가 새로운 것을 보여준 이들을 아무래도 비중있게 소개하는 것이 동어반복을 막는 길이니 어쩔 수 없겠고.

어쨌든 바그너와 그 '신독일파' 라고 싸잡힌 파벌들을 좋아하지 않거나, 공공연히 그들의 안티임을 주장한 작곡가들도 꽤 있었다. 이들은 최근에야 음반 산업의 발달로 주목받기 시작했는데, 칼 라이네케(Carl Reinecke, 1824-1910)도 마찬가지 케이스다.
AND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862)
[필독] 공지사항 (1)
음악잡설 (414)
만화잡설 (103)
사회잡설 (47)
식충잡설 (202)
그외잡설 (94)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CALENDAR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