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소개할 라차리(Sylvio Lazzari, 1857-1944)는 1회에 다룬 볼프-페라리보다도 더 애매한 정체성의 소유자다. 당시 오스트리아 땅이었던 보첸-지금은 이탈리아 땅이 되어 있고, 볼차노라고 부름-에서 이탈리아인 아버지와 오스트리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1892년에 프랑스 시민권을 얻어 파리 근교의 쉬르센에서 타계한 작곡가라면 아마 어느 정도 이해가 될 듯 하다.
라차리는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음악가의 길을 걸었던 입지전의 인물이었는데, 바이올린을 인스브루크와 뮌헨, 빈에서 배운 것 외에 작곡 수업을 파리 음악원에서 에르네스트 기로(비제의 동료 작곡가)와 세자르 프랑크에게 받았다. 아마 이 프랑스 수업이 그의 일생을 좌우했던 것 같으며, 실제로 스승 프랑크의 작품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1894년에는 그의 바이올린 소나타가 당대 유명 바이올리니스트였던 외젠느 이자이의 연주로 초연되기도 했고, 이후 계속 프랑스를 무대로 다섯 편의 오페라를 비롯한 작품들을 계속 작곡했다. 하지만 오페라의 경우에는 대본의 미숙함, 오페라 극장장들의 오해와 거절 등으로 인해 지금까지도 제대로 상연을 보지 못하고 있다.
라차리는 프랑스가 독일군 점령 아래 있을 때도 계속 파리 근교에 머물렀는데, 작곡가로서는 이례적으로 87세까지 장수했다. 하지만 만년에 그는 시력 저하로 인해 크게 고통받았고, 폐 색전증으로 타계한 이후에는 몇몇 음악 사전들에서도 누락될 정도로 까마득하게 잊혀졌다. 드뷔시와 라벨이 프랑스 근대 음악의 거장으로 인정받는 추세에 있어, 라차리의 보수 성향-물론 그 당시 기준이다-이 이러한 평가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리고 만년의 라디오 인터뷰 등에서 그는 독일 음악에 대한 자신의 애정을 라디오 인터뷰 등에서 피력한 바 있는데, 이러한 발언은 독일 점령군에게 아부하는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독일-오스트리아 혈통의 소유자로서 독일 음악에 대한 친화력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을지도 모르며, 실제로 그의 오페라에서는 바그너의 영향도 엿볼 수 있다고 한다.
라차리의 작품은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을 비롯한 유명 출판사들에서 악보가 간행되었다고 하지만, 이들 악보를 구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연주나 녹음도 뜸할 수밖에 없으며, 국내에서 그의 작품이 연주되었다는 소식은 아직도 듣지 못했다.
지난번 부터 계속 예를 들고 있는 낙소스의 홈페이지에서 그의 교향곡 E플랫장조(1907)와 관현악 모음곡 '바다 풍경(1920)' 이 들어 있는 CD가 마르코 폴로 레이블로 출반되었다는 것을 보았는데, 이것이 처음으로 들어본 라차리 작품이었다. 하지만 이 CD는 처음 출반된지 불과 5년도 채 못되어 카탈로그에서 사라져 버렸다.
무슨 이유인지는 나도 궁금한데, 마르코 폴로가 채산성의 이유로 낙소스 본사에서까지 점차 버림받는 듯한 냄새가 풍긴다-물론 확신할 수는 없지만, 마르코 폴로의 CD 여러 장이 카탈로그에서 사라져 버린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