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나먼정글 잡설록

블로그 이미지
말 그대로 잡설록 (공지 필독!!!)
by 머나먼정글
  • Total hit
  • Today hit
  • Yesterday hit


1960년대에 한창 히피 문화로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이 떠들썩할 때, 특히 그 히피들이 정신적인 원류 혹은 배움터로 자주 언급한 나라가 바로 인도다. 불교와 힌두교라는 종교의 발상지이자 동양철학의 큰 줄기에 있는 나라인 만큼 그런 경외감이 생긴게 당연할 지도 모르는 일인데, 물론 이런 시각이 항상 공정하지만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인도라는 나라가 가진 그런 '경외감' 은 심지어 히피가 아닌 클래식계 유명 인사들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는데, 가령 카라얀 같은 경우에는 자기 선전의 일환으로 요가를 배우기도 했다. 그의 라이벌이었던 첼리비다케도 집에 인도산 부처상을 모셔놓기도 했고, 철학에 관해 논할 때 후설의 현상학 외에도 인도 철학의 개념들을 섞어가며 난해한 토론을 즐겼다고 한다. 그리고 프랑스 작곡가 올리비에 메시앙이나 미국 작곡가 헨리 카웰 등은 인도 전통음악을 연구한 성과를 자신들의 작품에 반영하기도 했다.

물론 그 당시 권위주의적인 독재 체제가 지배하고 있던 한국이라는 나라에서는 그런 히피 문화가 자생은 커녕 제대로 수입도 되지 못했고, 그에 따라 서방으로 흘러들어간 인도 문화나 철학의 유행도 아주 미미했다. 그나마 요 몇년 전에 달러 멘디의 '투낙 투낙 툰' 이 '뚤훍뚤훍뚥 따다다~' 라는 후렴구로 유명한 한국어 독음판으로 번역(???)되어 퍼지면서 좀 뒤틀리고 비비꼬이긴 했지만 인도 대중음악의 한 유파인 '방그라' 를 한국에 소개했다는 나름대로의 '업적' 이 있던 게 기억나고.

아무튼 히피가 한창 유행일 때 서방에 같이 흘러들어간 인도 음악 중 라비 샨카르(Ravi Shankar, 1920-)의 시타르 연주가 특히 화제가 되었다고 하는데, 비틀즈 멤버 조지 해리슨부터 바이올리니스트 예후디 메뉴힌, 플루티스트 장-피에르 랑팔, 샤쿠하치 주자 야마모토 호잔, 고토 주자 미야시타 무스미 등 세계 각국의 유명 연주가들과 작업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런 명성에 힘입은 것이었다.
AND

ARTICLE CATEGORY

분류 전체보기 (862)
[필독] 공지사항 (1)
음악잡설 (414)
만화잡설 (103)
사회잡설 (47)
식충잡설 (202)
그외잡설 (94)

RECENT ARTICLE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CALENDAR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